크레디트스위스 Credit Swiss 및 도이치뱅크 은행에 만연해있는 문제 [금융잡설]
크레디트스위스 및 도이치뱅크 은행에 만연해있는 문제
미국은행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일반 대중들이 드디어 인지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은행은 장기간에 걸쳐서 본질적인 리스크를 축적 시켜왔고,
금리 상승을 핑계로 문제 상황을 해결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모럴헤저드 입니다.
너무나 양심이 없는 태도입니다.
일전의 데이터에서 미국 은행들에 대한 본질적인 이야기를 하였기 때문에, 현재의 실상을 같이 알아봅시다.
은행의 경우 개별 은행의 문제로 절대 치부 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은행 자체의 아래와 같은 특성 때문입니다.
은행이 적은 자본으로 큰 레버리지를 만들어, 돈을 운용 하더라도, 예금을 한 당사자들은, 내가 맞긴 돈이 "안전 할 것이다" 라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 이유는 은행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신용을 바탕으로 하고,
그 은행에 대한 믿음! 이라는 요소는
다른 말로 신용 이라는 말로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중들이 몰랐을 때는 문제가 없습니다.
항상 모든 문제는, 어떠한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지!
알게 되었을 때가 문제입니다.
금리가 빠르게 상승 함에도 불구하고,
맹목적인, 채권에 대한 신용으로
대규모의 채권 매수를 진행 하였고,
이로 인하여, 채권에 대한 대규모의 디폴트가 발생 하게 되고,
이러한 디폴트는,
세계은행 법을 따르는 모든 은행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더 큰 문제는
모든 은행은 완벽하게 연결 되어 있습니다.
연결 고리를 끊기도 어려울 뿐더러,
하나가 무너지면 연쇄적으로 도산하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
2. 그래서 중앙은행은 무슨 짓을 하고 있는가?
빠른 속도의 금융 완화 정책도, 엄청난 금융 시장의 돌아왔지만,
금융 긴축 정책은 그 문제를 더욱 크게 악순환으로 만들었습니다.
아래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FED의 대차대조표 중 일부인데,
위의 표를 아래 그래프로 보면,
근 1년 반 동안의 긴축 기조를 확 뒤집는 지표가 발생 한 것입니다.
70년대에 비슷한 형태의 역사가 분명하게 존재 하였습니다.
인플레이션으로인해 긴축 작업을 지속 하다,
중간에 국가의 경제 성장에 대한 문제 및 예상치 못한 다양한 문제가 터지다 보니,
재차 완화를 진행 한 역사입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24% 까지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던 상황을 만들었고,
그렇게 되어서야,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멈출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미국에서 초인플레이션을 보게 될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초 인플레이션은, 반드시 전세계로 수출 될 것입니다.
지금은 달러의 시대이기 때문이죠.
모든 은행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제시하고 있고, 은행의 파산을 막기 위해서,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선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 3. 마무리 [Conclusion]
정답은 개인적으로 역사에 존재 했다고 생각합니다.
귀금속으로의 Rush가 일어나기 전에 미리 쌓아야 됩니다.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정보제공자는 책임이 없습니다
본 분석 자료는 투자를 위한 분석이 아닌 학습을 위한 자료입니다.
오늘도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답글삭제감사합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