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SILVER)의 최고의 매수 포인트는 언제인가?

이미지
  본격적인 바젤 3 시행으로 인해,  중앙은행들의 금 실물에 대한 수요 폭증을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시점이 왔고 , 상업은행들의 파산과 뱅크런을 목도하며, 귀금속 섹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과 현상에 대한 이야기는 자주 하였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저의 개인적인 투자 이야기 를 덧붙여 보려 합니다. 2020년 4월 24일 처음 실물 1KG 은괴 10개를 매수 한 이래로, 현재는 은 관련 실물, 상품에 전 재산 및 대출금까지 더해 투자한 상태입니다. 당시에는 은 시장에 대해서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은괴 및 은화에 대해서만 구입을 하였지만, 그 이후 다양한 상품( 은 관련 상품에만 한정 )에 분할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다른 상품보다 은에 대해서 자주 언급하고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왜 하필이면 20년 4월에 최초로 은을 매수하였는가에 대한 이야기와, 현재 은 가격 분석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해 보겠습니다. 1. 왜 하필이면 20년 4월인가? 개인적으로  투자의 시점 을 결정할 때, 펀더멘털보다 모멘텀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먼저 펀더멘털에 대해 알아보면, 금과 은 같은 섹터의 경우 기본적인 펀더멘털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가치 하락을 말미암아 상승하는 가치와 은의 공급과 수요 등으로 대표되는 실물 경제의 공급망 상황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2020년 까지는 투자를 결정함에 있어, 어떠한 펀더멘털적인 요소도 투자 결정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사실 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2019년의 산업적 측면의 소비량이 직전연도에 대비해서 상승하지도 않았고, 전체 실물 소비량이 공급량을 크게 초월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기도 어렵습니다. 초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전기의 중요성이 더욱 가시화될 것이라 생각했고, 결과적으로 21년 이후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산업의 본격적인 ...

은 가격에 대한 기술적 분석 [원자재분석]

이미지
한국인은 모든 물건의 가격을 결정하는 기준이 원 기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USD를 Won으로 변환하여 고려해야 하고, 이러한 이유로 환율과 은 가격 두 개가 모두 중요 한 것입니다. 그러면 아래의 글에서 차트를 바탕으로 함께 살펴보시죠. 1. 환율 분석 환율에 대해서 확인할 때는 세 가지 지표를 동시에 보면 좋습니다. 첫 번째가 원 달러 지수, 두 번째가 DXY 달러지수, 세 번째가 무역수지입니다. 달러지수는 달러 자체의 힘을 엔화와 유로화 등 다양한 화폐와의 상대적 가치를 기준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달러 그 자체의 힘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라고 생각하고, 무역수지의 경우에는, 무역의 기축통화라고 할 수 있는 달러의 유출입을 거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데이터를 중심으로, 통화 가치의 장기적 추세의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자연법칙에 의거한 기준(엘리엇 파동-피보나치수열, 프랙털 이론)과 RSI 지표를 바탕으로 큰 그림을 먼저 보도록 하겠습니다. 월봉 기준으로 이러한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의 조정의 경우, 61.8%의 피보나치 계수에 맞춘 조정 후 반등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반등은 기존에 그려둔 프렉탈적 그림을 깨뜨리지 않은 상태입니다. 또한 RSI 측면으로도 현재 바닥을 찍었다는 말은, 매도가 과도했다는 의미로, 추가적인 하락이 없다면, 최근에 일어나는 상승을 이후 강하게 서포트 하며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봅니다. 일봉 기준으로 최근의 그림을 봐도, 인위적으로 선을 그은 게 아닌데도 불구하고, 명확하게 피보나치 되돌림 지표에 따라 반등 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일전에 한번 말씀드린 적이 있듯이, 원 달러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DXY 즉 달러지수를 추종하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그래프를 바라본다면, 달러의 가치가 떨어져 다른 원자재의 가격이 올라감에도 불구하고, 원화의 가치가 더 많이 빠지게 됨으로써, 되려 원 달러 지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위의 파란색 선은, 한국은행이 KR...

현실 세계에서의 은의 양은 심각하게 부족합니다 [원자재분석]

이미지
 금융 시장과 실물 시장은 시장 참여자들의 차이로 인해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현상들이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현재 은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투자시장과 현실과의 괴리는 놀라운 수준입니다. 이에 대한 Reuters의 리포트를 함께 보면서 짧게 알아봅시다. 실버 연구소(Silver Institute)는 올해 전 세계 은 수요가 16% 증가해 12억 1000만 온스에 달해 수십 년 만에 가장 큰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보석, 은 제품, 은괴 은화 등을 포함, 산업 전반에 걸쳐 기록적인 수준의 수요가 예상됩니다. 자동차 및 태양광 패널 산업도 수요 증가에 기여합니다. 급등에도 불구하고 은값은 금년 들어 약 10% 하락한 온스당 21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주로 미국 채권 수익률 상승과 달러 강세에 대응하여 은을 매도하는 재무적 투자자들 때문입니다. 기존 보고자료와 일부 상이한 점이 있지만, 21년에 이어 22년도 마찬가지로 실물 은의 공급에 비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기사에도 잘 나와있듯이,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에 은의 수요와 공급이 아닌 엉뚱한 투자자의 투기로 인한 가격 변동이 핵심 요인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모든 시장의 가격은 반드시 장기적 펀더멘털에 수렴 되게 되어있음으로, 파생상품에 대한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오게 되면, 반드시 실물 경제에서 가격을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23년에 대한 수요 예측 데이터도 이미 나와 있는데, 보수적으로 간주하더라도, 실물 은의 부족이 거의 1억 1200만 온스에 달할 것이라는 데이터입니다. 미래 산업에 대한 은의 역할에 대해서 공감하듯이, 은이 없다면 어떠한 전자 제품도 생산할 수가 없습니다. 전기차와, 태양광에 대한 은의 수요는 날이 갈수록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반대로 은광에 대한 증가는, 산업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은의 가격 문제와 환경 문제로 인해 빠르게 늘어나지 못하고 있습니...